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절약 노하우 팁

프럼JIHYE 2021. 1. 19. 13:10
반응형

월급날이 아직인데 월급을 다써버렸다면 그것만큼 난감한 일이 또 없을텐데요. 남의 일이 아닙니다. 직장인 2명 가운데 1명은 월급날 전에 월급을 다 써버리는걸로 조사가 되었습니다. 물론 낭비때문에 월급을 다 쓰는것은 아닌걸로 나타났는데요.

절약 노하우

 

 

대부분 대출 및 빚 상환을 위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고 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절약 노하우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무 계획없이 지출을 하게되면 힘들게 번돈이 순식간에 사라져 버릴텐데요. 절약 노하우 첫번째는 제일 큰 지출인 주택담보 대출금리를 알아보는건데요.

 

 

금융기관마다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금리로 대출받는게 절약의 첫걸음 입니다. 혹시 대출금의 매달 지불금 보다 많은 여유돈이 있다면 조금씩 조기상환을 하는것도 절약 노하우중 하나 입니다. 돈을 절약할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신용카드 빛을 청산하는 것인데요.

 

 

신용카드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편리한 지불방법을 제공하고 할부라는 방식으로 더 많은 지출을 야기 하고있습니다. 다음달에 나눠서 내야 하는 할부방식을 잊고 이번달 카드값은 이정도라고 생각하면서 다시 지출을 하게 하는게 무서운 신용카드라는걸 꼭 알아야 겠습니다.

 

 

가족이 생활하면서 사용하는 생활비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식비입니다. 요즘은 맞벌이 가정이 많아 외식비로도 많은 지출이 되는데요. 외식을 줄인다고 해도 마트는 한번 갈때마다 무서운 영수증을 손에 쥐게 됩니다.

 

 

마트를 가는것도 다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쇼핑리스트를 작성하는건데요. 일주일에 한번 마트를 간다면 일주일간 어떤식단을 만들어 먹을지를 고민하고 필요없는 지출을 피하는겁니다.

 

 

마트나 음식점들은 우리가 소비를 하도록 유도한다는거 알고계신가요? 백화점에 창문이 없는 이유도, 1층엔 화장실이 없는 이유도 다 소비를 하게끔 만들어졌는데요. 마트나 백화점에 나오는 음악도 이와 같은 이유랍니다. 기억하셔야될 절약 노하우 장을 보러간다면 쇼핑리스트를 꼭 작성하셔야 합니다.

 

 

우리가 생활하면서 나도모르게 지출되는 돈들이 있는데요. 이런돈만 아껴도 상당히 절약이 된답니다. 바로 유류비인데요. 차량에 기름을 넣을 때 가득넣으시는 분들 계신데요. 차량엔 기름을 적당량 채운후 자주 주유를 하는게 절약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집에서 사용하는 양변기에 어르신들이 많이 하셨던 물통에 벽돌넣는것도 물절약에 좋은 예인데요. 벽돌이 없다면 패트병에 물을 가득채워서 넣어놓아도 같은 효과를 준답니다. 손에서 놓지않는 휴대전화보다는 유선전화 통화료가 더 저렴하다는것도 중요한 포인트인데요.

 

 

집에서는 가능하다면 유선전화를 사용하는것이 절약 노하우 입니다. 절약을 하기위해선 남들눈을 의식하지 않는것도 중요한데요. 명품같은경우 남에게 보여지기 위함이 지출에 큰 이유인데요.

 

 

사실 명품이 실용적이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 필요한 물건을 단지 명품이란 이유로 몇배의 가격을 더 주고 사게된다면 지출이 아닌 낭비가 될수도 있다는거 기억하셔야 합니다.

 

 

또 주변의 지인이좋은 차를 가지고 있다거나 좋은 집에 살고있다고 대출을 받거나 차를 바꾸는 경우를 종종 보았는데요. 이런경우도 남들의 눈을 의식하는것에서 비롯되는 지출입니다.

 

 

대중교통이 잘 되어있는 시내권에서는 출퇴근도 대중교통으로 한다면 더욱더 절약할수 있답니다. 물건을 사게된다면 충동구매를 하지않도록 몇번더 생각하고 지출하는것이 현명한 방법인데요.

 

 

세일이라서 더 싸다고 사게되거나 1+1이라고 하나 공짜로 얻을수 있다고 사는것은 이달의 지출만 더 크게 늘어난답니다. 사야할 물건이 생긴다면 정말 나에게 꼭 필요한 물건인지 한번더 생각해 보는건 어떨까요?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위에 언급한 방법 말고도 연말엔 제2의 월급이라고 하는 소득공제를 활용할수도 있습니다. 또한 건강을 위해. 서라도 술,담배는 끊는것도 도움이 되는데요. 재능이 있다면 활용해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는것도 방법이랍니다.

반응형
댓글